top of page

아동・청소년 상담
다리꿈의 아동 청소년 상담은 아이의 마음을 세웁니다
반항성 장애
반항성 장애는 종종 권위가 있는 사람에 대한 부정적, 반항적 및 불복종 행동이
재발하는 패턴입니다
계속 학교에서 다툼이 있는 우리아이 반항성 장애 인가요?
반항성 장애는 전형적으로 행동 문제 뿐만 아니라 분노/과민한 기분 증상도 함께 보입니다. 반항 행동은 형제자매 간에서 흔히 보일 수 있기 때문에 형제자매가 아닌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에서도 관찰되는 지 확인해야 합니다. 전형적으로 성인과의 상호작용(권위적, 강압적인 교사)이나 개인적으로 잘 아는 또래들과의 관계에서 나타납니다. 대개 스스로는 화를 잘 내거나 반항적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자신의 행동이 부당한 요구나 분위기에 대한 반응이라고 합리화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반항성 장애 체크리스트 -
사소한 일어도 버럭 화를 낸다
부모에게 대들고 논쟁을 한다
부모의 요구나 지시를 무시하거나 거부한다
고의적으로 타 인을 귀찮게 한다
자신의 실수나 잘못된 행동을 남의 탓으로 돌린다
쉽게 기분이 상하거나 신경질을 낸다
쉽게 화내고 다른 사람을 원망한다
적대심에 차 있거나 양심을 품고 있다
4개 이상이 체크되면 반항성 장애일 확률이 60-70%입니다. 전문상담이 필요합니다
반항성장애와
구분되는 증상
첫 증상은 보통 취학 전에 나타납니다
품행장애보다 발달적으로 먼저 보이게 되지만 경과는 서로 다릅니다
분노 및 과민한 기분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우울장애나 불안 장애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자기보호와 관심 끌기가 중요하다는 것이 품행 장애와 차이점이며
반항을 통한 관심 끌기가 주요 목적 중 하나입니다
치료 프로그램
놀이치료
인지행동치료
가족상담
생각하는 의자의 최적의 시간은 ‘나이X1분’
,,
생각하자는 의자는 정적처벌 방식의 일종이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