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심상에 들어가기 어려운 경우 안전 기지를 먼저 만들어야 함(성폭행, 성추행, 불안이 높은 경우 등). 트라우마 장면을 여는 것이므로 안전 기지를 만들어 놓지 않고 작업하면 윤리적이지 않고 내담자가 더 힘들어 짐.
1) 트라우마가 심한 내담자
2) 깊은 우울로 힘이 필요한 내담자(MDD with phychotic symptom 내담자는 적절하지 않음)
3) 자신감이 없거나 심하게 위축되어 지지가 필요한 내담자
4) 안전 기지부터 만들고 떠올리고 들어오게 하는 것
2. 준비 사항
1) 심상 작업의 목표와 이유 설명하기.
- 지난회기 말씀드렸던 심상 작업이라는 것을 할 것이다.
- 눈을 감고 상황을 떠올리면서(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경우 네이밍을 붙여 표현 예: 성폭행은 불난집) 민들레님이 살면서 경험한 어려움을 더 잘 다룰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눈을 뜨고 해도 되고 감아도 됩니다. 눈을 감으면 좀 더 도움이 됩니다.
2) 심상 작업의 근거 설명하기
- 뇌는 상상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합니다. 상상하는 것과 현실에서 실제로 하는 것이 뇌에서는 동일한 신경학적인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뇌의 이런 특성을 활용해서 민들레님의 고통을 해결하는 방법을 심상 작업이라 합니다.
3) 심상을 떠올리는 호흡하기
눈을 감고 3번 호흡을 해 봅시다. 숨이 들어가고 나가는 것에만 집중해 볼께요.
3. 사용 방법
1) 천천히 3번 정도 호흡 함.
- 두손을 배에 올리고 천천히 숨 들이마시고 후~(소리내어) 내 qoerh)
2) 내가 가장 안전하고 편안하다고 느끼는 장소. 혹은 대상, 그것은 실제여도 되고 상상의 인물이나 장소여도 괜찮습니다. 그 어떤 것이든 떠올려 보세요.
3) 눈앞에 그것이 보이면 고개를 끄덕여 주세요.
- 무엇이 보이시나요?(시각, 청각, 체각, 심상을 활용하여 그 장면을 묘사하기)
4) 그 이미지를 내 몸 어딘가에 저장된 이미지로 언제든지 떠올릴 수 있도록 몸에 신호 장치(버튼)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5) 내 신체 어디에 저장하고 싶으세요?
- 신호 장치를 통해 충분히 느끼고 언제든 저장된 그 이미지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그 이미지를 떠오르면 천천히 눈을 뜨셔도 됩니다.
6) 경고 알람 찾기: 위험하다고 느낄 때 나의 몸은 어떻게 반응하나요?
무엇이 나를 안전하다고 느끼게 하거나, 편안한 상태로 만들어 주세요? 나는 어느 장소에서 가장 편안함으 느끼나요?
4. 주의 사항
- 라포 형성된 이후 사용
- 전 회기에서 충분히 탐색 한 후 사용
- 현실과 환상을 구분하기 못하거나(스키조/분열이 심한 사람), 눈을 계속 감고 이완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내담자에게는 적절치 않음. 눈 감는 것을 두려워 하면 눈 뜨고 해야 함.
▣ 느낀점
- 상담 장면에서 그동안 사용했던 기법을 인지행동 치료와 접목하여 사용하는 것을 배울 수 있어 유용했다. 그리고 좀 더 정교화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배워서 내담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신체 부위에 안전 기지를 저장하고 호흡하며 그동안 겪었던 힘든 감정을 호흡과 함께 후~ 하고 내밷는 것을 강의 들으며 직접 해 보니 나 역시 너무 좋았다.
- 상담하면서 생활 중에 미해결된 문제, 감정이 있을 때 주로 명상과 자유 연상을 하며 무의식을 탐색하곤 했는데 이번 주는 3인조 실습에 앞서 안전 기지 구축 연습을 스스로 해 보아야겠다.
- 심리적 위축, 우울, 무의식을 탐색하는 것에 저항적인 경우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안전기지를 먼저 구축해야 겠다. 그리고 호흡하며 몸을 자각하는 것이 뇌과학적으로도 유용함을 설명한다면 내담자들에게도 더 신뢰롭게 다갈 갈 것으로 생각된다
12강. 정서적 개입기법: 심상작업
▣ 안전기지 만들기
1. 사용 대상
바로 심상에 들어가기 어려운 경우 안전 기지를 먼저 만들어야 함(성폭행, 성추행, 불안이 높은 경우 등). 트라우마 장면을 여는 것이므로 안전 기지를 만들어 놓지 않고 작업하면 윤리적이지 않고 내담자가 더 힘들어 짐.
1) 트라우마가 심한 내담자
2) 깊은 우울로 힘이 필요한 내담자(MDD with phychotic symptom 내담자는 적절하지 않음)
3) 자신감이 없거나 심하게 위축되어 지지가 필요한 내담자
4) 안전 기지부터 만들고 떠올리고 들어오게 하는 것
2. 준비 사항
1) 심상 작업의 목표와 이유 설명하기.
- 지난회기 말씀드렸던 심상 작업이라는 것을 할 것이다.
- 눈을 감고 상황을 떠올리면서(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경우 네이밍을 붙여 표현 예: 성폭행은 불난집) 민들레님이 살면서 경험한 어려움을 더 잘 다룰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눈을 뜨고 해도 되고 감아도 됩니다. 눈을 감으면 좀 더 도움이 됩니다.
2) 심상 작업의 근거 설명하기
- 뇌는 상상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합니다. 상상하는 것과 현실에서 실제로 하는 것이 뇌에서는 동일한 신경학적인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뇌의 이런 특성을 활용해서 민들레님의 고통을 해결하는 방법을 심상 작업이라 합니다.
3) 심상을 떠올리는 호흡하기
눈을 감고 3번 호흡을 해 봅시다. 숨이 들어가고 나가는 것에만 집중해 볼께요.
3. 사용 방법
1) 천천히 3번 정도 호흡 함.
- 두손을 배에 올리고 천천히 숨 들이마시고 후~(소리내어) 내 qoerh)
2) 내가 가장 안전하고 편안하다고 느끼는 장소. 혹은 대상, 그것은 실제여도 되고 상상의 인물이나 장소여도 괜찮습니다. 그 어떤 것이든 떠올려 보세요.
3) 눈앞에 그것이 보이면 고개를 끄덕여 주세요.
- 무엇이 보이시나요?(시각, 청각, 체각, 심상을 활용하여 그 장면을 묘사하기)
4) 그 이미지를 내 몸 어딘가에 저장된 이미지로 언제든지 떠올릴 수 있도록 몸에 신호 장치(버튼)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5) 내 신체 어디에 저장하고 싶으세요?
- 신호 장치를 통해 충분히 느끼고 언제든 저장된 그 이미지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그 이미지를 떠오르면 천천히 눈을 뜨셔도 됩니다.
6) 경고 알람 찾기: 위험하다고 느낄 때 나의 몸은 어떻게 반응하나요?
무엇이 나를 안전하다고 느끼게 하거나, 편안한 상태로 만들어 주세요? 나는 어느 장소에서 가장 편안함으 느끼나요?
4. 주의 사항
- 라포 형성된 이후 사용
- 전 회기에서 충분히 탐색 한 후 사용
- 현실과 환상을 구분하기 못하거나(스키조/분열이 심한 사람), 눈을 계속 감고 이완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내담자에게는 적절치 않음. 눈 감는 것을 두려워 하면 눈 뜨고 해야 함.
▣ 느낀점
- 상담 장면에서 그동안 사용했던 기법을 인지행동 치료와 접목하여 사용하는 것을 배울 수 있어 유용했다. 그리고 좀 더 정교화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배워서 내담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신체 부위에 안전 기지를 저장하고 호흡하며 그동안 겪었던 힘든 감정을 호흡과 함께 후~ 하고 내밷는 것을 강의 들으며 직접 해 보니 나 역시 너무 좋았다.
- 상담하면서 생활 중에 미해결된 문제, 감정이 있을 때 주로 명상과 자유 연상을 하며 무의식을 탐색하곤 했는데 이번 주는 3인조 실습에 앞서 안전 기지 구축 연습을 스스로 해 보아야겠다.
- 심리적 위축, 우울, 무의식을 탐색하는 것에 저항적인 경우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안전기지를 먼저 구축해야 겠다. 그리고 호흡하며 몸을 자각하는 것이 뇌과학적으로도 유용함을 설명한다면 내담자들에게도 더 신뢰롭게 다갈 갈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