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사님의 애착이론 중심의 사례개념화에 대한 자세하고 열정적인 강의에 존경의 마음을 전합니다. 상담이론은 아니지만 심리학적 이론으로 상담에 활용되고 있고, 요즈음 최신상담이론의 관계중심으로 가는 통합된 설명을 제공하는 밑바탕이론이 애착이론이라는 설명은 애착이론에 대한 혼란한 생각을 간단히 정리해 주셨습니다.
애착이론에서 초점화하는 것은 정서인데 상담자는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에게 정서(감정)을 그대로 비춰주기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배웠습니다. 상담자는 상담실을 실험실로 여기기도 하지만 놀이공간이 되어야 하고 놀이를 마치기 전에는 꼭 놀이공간에서 빠져 나와서 마쳐야 한다는 것으로 매회기 종결의 중요성도 배웠습니다. 애착에서 근접성, 반응성, 관여성이 주어지는 것이 안정애착을 형성하게 하는 인데, 상담과정에서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엄마같은 역할로 내담자와 함께하고 바로바로 반응하고 관여하는 역할의 중요성 한번 더 새겨보았습니다. 축어록을 소개해 주신 것도, 매 시간마다 해주신 주옥같은 말씀들이 현장에서 상담을 하는 제게는 나침판 같은 역할을 합니다. 감사합니다.
강사님의 애착이론 중심의 사례개념화에 대한 자세하고 열정적인 강의에 존경의 마음을 전합니다. 상담이론은 아니지만 심리학적 이론으로 상담에 활용되고 있고, 요즈음 최신상담이론의 관계중심으로 가는 통합된 설명을 제공하는 밑바탕이론이 애착이론이라는 설명은 애착이론에 대한 혼란한 생각을 간단히 정리해 주셨습니다.
애착이론에서 초점화하는 것은 정서인데 상담자는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에게 정서(감정)을 그대로 비춰주기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배웠습니다. 상담자는 상담실을 실험실로 여기기도 하지만 놀이공간이 되어야 하고 놀이를 마치기 전에는 꼭 놀이공간에서 빠져 나와서 마쳐야 한다는 것으로 매회기 종결의 중요성도 배웠습니다. 애착에서 근접성, 반응성, 관여성이 주어지는 것이 안정애착을 형성하게 하는 인데, 상담과정에서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엄마같은 역할로 내담자와 함께하고 바로바로 반응하고 관여하는 역할의 중요성 한번 더 새겨보았습니다. 축어록을 소개해 주신 것도, 매 시간마다 해주신 주옥같은 말씀들이 현장에서 상담을 하는 제게는 나침판 같은 역할을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