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가지고 있는 비합리적 신념은 “나는 누구에게나 인정받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 신념은 늘 다른 사람에게 관심을 기울이고, 부족한 점을 살피며 도와주려는 태도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내 감정이 타인의 반응과 평가에 지나치게 좌우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집단원들의 비합리적 신념을 논박하거나 지지하는 작업이 나의 비합리적 신념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집단원들이 서로의 비합리적 신념을 논박하거나 지지하는 과정을 관찰하고 직접 참여하면서, 나 역시 나의 신념이 절대적인 것이 아님을 깨달았다. 특히 집단원 중 일부가 “모든 사람에게 인정받을 수는 없다”는 점을 지적했을 때, 나는 비로소 내 신념의 경직성을 자각하고 조금은 유연해질 수 있는 계기를 얻었다.
짝궁과의 작업을 통해 나의 비합리적 신념에 대해 알아차리거나 경험한 것은 무엇인가?
검사자와 변호자의 역할보다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에서 나의 비합리적 신념을 더욱 선명하게 발견할 수 있었고 짝궁과 깊이 있는 대화를 하며, 인정받기 위해 끊임없이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신념이 완전한 사실은 아님을 스스로 알아차릴 수 있었다.
집단에서 새롭게 시도해보거나 실험해본 것이 있는가?
집단에서 나는 인정받기 위해 나를 드러내고 잘하려는 모습을 의식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생일잔치 활동 중 허리가 불편한 집단원에게 물을 가져다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습관처럼 행동하지 않고 참아보는 시도를 했다.
시도해본 결과 나의 비합리적 신념이 어떻게 되었는가?
다른 사람을 돕지 않으면 마음이 불편하고, 나의 의견을 내지 않으면 존재 가치가 인정받지 못한다는 생각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비합리적 신념은 오랜 시간 형성된 것이므로 쉽게 변화되지는 않겠지만, 변화 가능성에 대한 자각이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가장 기억에 남은 말이나 문장 혹은 시간은?
“누구에게나 인정받지 않아도 되고, 미움받을 용기가 필요하다!”비합리적 신념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스스로에게 건넨 이 말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가장 좋았던 시간과 그 이유는?
집단원 B의 생일잔치를 함께 준비하고 축하했던 순간이었다. 생일 축하를 통해 집단원 모두가 존재의 의미를 확인하고 “소중하고 존귀한 존재”라는 마음을 나누며, 집단의 치유적 힘을 깊이 느낄 수 있었다.
가장 아쉬웠던 것과 그 이유는?
나의 비합리적 신념에 집중하다 보니 짝궁의 이야기를 충분히 듣지 못한 것이 아쉬움으로 남았다. 검사자와 변호자의 역할을 통해 신념을 지지하거나 반박하는 과정에 충분히 머물지 못했던 점이 부족하게 느껴졌다.
집단지도자와 집단원에게 배운 것은?
지도자로부터는 자기 개방과 적절한 개입, 중재를 통해 집단의 주제에 맞게 흐름을 이끄는 전문적인 리더십을 배울 수 있었다. 집단원들에게서는 서로의 취약함을 드러내면서도 지지와 격려를 나누는 과정을 통해, 집단이 사회에서 경험하기 어려운 새로운 실험의 장이 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처음 집단에 참여했던 기대와 마친 후의 만족은?
집단에 참여하면서 비합리적 신념을 성찰하고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이번 집단은 단순히 시간을 채우는 과정이 아니라, 집단원들의 비합리적 신념을 통해 삶의 패턴이 형성되고 변화하는 과정을 체험하며 사람들의 개별성과 보편성을 동시에 이해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다.
별칭: 나대지마! 심장아
나의 비합리적 신념에 관하여 무엇을 알아차렸는가?
내가 가지고 있는 비합리적 신념은 “나는 누구에게나 인정받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 신념은 늘 다른 사람에게 관심을 기울이고, 부족한 점을 살피며 도와주려는 태도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내 감정이 타인의 반응과 평가에 지나치게 좌우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집단원들의 비합리적 신념을 논박하거나 지지하는 작업이 나의 비합리적 신념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집단원들이 서로의 비합리적 신념을 논박하거나 지지하는 과정을 관찰하고 직접 참여하면서, 나 역시 나의 신념이 절대적인 것이 아님을 깨달았다. 특히 집단원 중 일부가 “모든 사람에게 인정받을 수는 없다”는 점을 지적했을 때, 나는 비로소 내 신념의 경직성을 자각하고 조금은 유연해질 수 있는 계기를 얻었다.
짝궁과의 작업을 통해 나의 비합리적 신념에 대해 알아차리거나 경험한 것은 무엇인가?
검사자와 변호자의 역할보다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에서 나의 비합리적 신념을 더욱 선명하게 발견할 수 있었고 짝궁과 깊이 있는 대화를 하며, 인정받기 위해 끊임없이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신념이 완전한 사실은 아님을 스스로 알아차릴 수 있었다.
집단에서 새롭게 시도해보거나 실험해본 것이 있는가?
집단에서 나는 인정받기 위해 나를 드러내고 잘하려는 모습을 의식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생일잔치 활동 중 허리가 불편한 집단원에게 물을 가져다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습관처럼 행동하지 않고 참아보는 시도를 했다.
시도해본 결과 나의 비합리적 신념이 어떻게 되었는가?
다른 사람을 돕지 않으면 마음이 불편하고, 나의 의견을 내지 않으면 존재 가치가 인정받지 못한다는 생각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비합리적 신념은 오랜 시간 형성된 것이므로 쉽게 변화되지는 않겠지만, 변화 가능성에 대한 자각이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가장 기억에 남은 말이나 문장 혹은 시간은?
“누구에게나 인정받지 않아도 되고, 미움받을 용기가 필요하다!”비합리적 신념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스스로에게 건넨 이 말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가장 좋았던 시간과 그 이유는?
집단원 B의 생일잔치를 함께 준비하고 축하했던 순간이었다. 생일 축하를 통해 집단원 모두가 존재의 의미를 확인하고 “소중하고 존귀한 존재”라는 마음을 나누며, 집단의 치유적 힘을 깊이 느낄 수 있었다.
가장 아쉬웠던 것과 그 이유는?
나의 비합리적 신념에 집중하다 보니 짝궁의 이야기를 충분히 듣지 못한 것이 아쉬움으로 남았다. 검사자와 변호자의 역할을 통해 신념을 지지하거나 반박하는 과정에 충분히 머물지 못했던 점이 부족하게 느껴졌다.
집단지도자와 집단원에게 배운 것은?
지도자로부터는 자기 개방과 적절한 개입, 중재를 통해 집단의 주제에 맞게 흐름을 이끄는 전문적인 리더십을 배울 수 있었다. 집단원들에게서는 서로의 취약함을 드러내면서도 지지와 격려를 나누는 과정을 통해, 집단이 사회에서 경험하기 어려운 새로운 실험의 장이 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처음 집단에 참여했던 기대와 마친 후의 만족은?
집단에 참여하면서 비합리적 신념을 성찰하고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이번 집단은 단순히 시간을 채우는 과정이 아니라, 집단원들의 비합리적 신념을 통해 삶의 패턴이 형성되고 변화하는 과정을 체험하며 사람들의 개별성과 보편성을 동시에 이해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다.